티스토리 뷰
집을 매매할때나 전세를 구할때 은행권에서 대출을 받게되는데 대출을 받게 되면 이자를 같이 내야하는데 주택담보대출은 상환기간이 10년부터 최대 30년이 소요되는 장기 대출이 많은데 10년이 넘어가는 장기대출의 경우 금리 산정이 중요한데 오늘은 변동금리와 고정금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금리가 5%라고하면 30년 대출 내내 5%로 고정금리로 설정해놓았는데 미래에 기준 금리가 10%까지 대폭 상향되어 올라간다면 은행들은 이자를 더 받지 못하고, 납부자는 5%의 손해를 막을수 있고, 반대로 금리가 낮아져 2.5%까지 내려간다면 납부자들은 2.5%의 손해를 입게됩니다.
장기대출의 경우 금리 결정은 기준금리,가산금리,우대금리를 알아야하는데 기본금리는 시장원리에 따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에 영향을 받아서 결정되는것으로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를 합하여 우대금리를 뺀 금액으로 공식이 계산됩니다.
은행 자체적으로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위험도를 덧붙이는 금리는 가산금리이고, 은행 자체적으로 거래실적에 따른 우대금리가 있으며 이용자는 고정금리로 할지 변동금리로 할지 선택할 수 있으며 시장을 잘 파악후 선택하는것이 유리하겠습니다.
주택담보대출 대출시 이용자는 적용금리는 높더라도 매월 똑같이 안정적인 고정금리를 적용할것인지, 금리는 낮지만 나중에 많이 오를수있어 위험성이 있는 변동금리 대출을 받을지 선택해야하는데 고정금리가 그리 높은편이 아니라면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는 대출기간 30년 동안 고정으로 하거나 5년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형태의 혼합형도 있는데 참고로 디딤돌 주택자금대출 금리는 연 3%대로 고정금리가 유리할수는데 대출을 받을때 자주 이용하는 은행 및 다른 은행도 알아보는것이 유리합니다.
금리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더 낮다면 대출을 받는 입장에서는 고정금리로 가는게 유리하다는 판단하에 은행에서는 신규 대출자에게 주로 고정금리를 추천하고, 상환기간에 따라서 변동금리와 고정금리,혼합형 중 잘 선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