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스레드(Threads)라고도하며 쓰레드 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스레드 뜻은 실이라는 것을 뜻하는데 인스타그램에서 인스타를 하다 보면 뜨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메타에서 만든 SNS 플랫폼이나 필요 없다면 스레드 쓰레드 탈퇴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스타랑 계정이 연동이 되어있어 쓰레드 앱만 설치하면 인스타 계정 로그인만으로 바로 시작이 가능하며 인스타 팔로워들과 소통이 가능하고 소통 위주의 스레드라고 하는데 인스타그램과 강제 연동이 부담스러움, 불필요한 푸시 알림이 너무 많습니다.

 

SNS 사용을 줄이고 싶거나 다양한 이유로 쓰레드 탈퇴를 하고 싶을때 우선 탈퇴 전 비활성화 방법과 알림 해제 방법 그리고도 탈퇴하고 싶다면 계정을 탈퇴하거나 비활성화(계정을 완전히 삭제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숨기는 방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스레드 알림 해제, 알림 차단 방법으로 스레드 앱 실행 후 하단 오른쪽 프로필 아이콘 클릭 - 상단의 설정 아이콘(두 줄 ) 클릭 - "알림" 메뉴(종 그림) 선택 - "모두 일시 중단" 활성화 버튼을 누르면 알림이 꺼지며 스레드 앱에서 알림 끄는 방법입니다.

 

불필요한 쓰레드 알림을 완전히 차단하려면, 개별 카테고리(게시물 & 답글, 팔로잉, 스레드 정보 등)에서 해제로 변경하면 되고, 일시적으로 계정을 숨기는 방법은 스레드 계정 비활성화를 해야 합니다.

 

스레드 계정 비활성화 방법은 계정이 타인에게 보이지 않고, 다시 로그인하면 자동으로 복구되는 시스템으로 스레드 앱 실행 후 프로필 아이콘 클릭 - 계정 - 프로필 비활성화 또는 삭제 - 프로필 비활성화 누른 후 비밀번호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즉시 계정이 비활성화되어 알림 차단과 계정이 비공개이지만 완전히 쓰레드 영구 삭제, 영구 탈퇴를 하고 싶다면 스레드 앱에서 프로필 아이콘 클릭 - 계정 - 프로필 비활성화 또는 삭제 - "프로필 삭제"를 누르고 비밀번호 입력 후 삭제 진행을 하면 됩니다.

 

스레드에서 인스타그램 계정과의 연동을 해제하고 싶다면, 스레드 앱 내 설정에서 "계정 연결 해제"를 진행하면 되고, 탈퇴 후 쓰레드에 있는 내 정보는 30일 동안 보관되며, 이후 완전히 삭제됩니다.

 

30일이 지나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30일이 지나면 새로 가입해야 하고, 스레드 계정을 삭제하더라도 인스타그램 계정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인스타그램은 그대로 로그인 가능하므로 인스타그램만 예전처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완전 탈퇴를 원하기까지는 30일 유예 기간을 거쳐야 하고, 이 기간에 다시 로그인하면 계정 복구가 가능하며 30일이 지나면 영구 삭제되어 복구가 불가능하니 참고하시기바라며 스레드를 정리하는 방법 및 스레드 쓰레드 탈퇴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